동해남부선 개발/폐선길 상업개발 - 공약깬 서병수

폐선길 상업개발 - 공약 깬 서병수시장

공인중개 2015. 5. 27. 15:10

"폐선길 상업개발"…공약 깬 서병수 시장

미포~옛 송정역 4.8㎞ 개발…내달 민간 사업자 공모착수

"상업시설 설치 불가피", 의견수렴 작업도 불성실…시민단체 반발 "집단행동"

 

 




부산 해운대 미포~옛 송정역 4.8㎞ 동해남부선 폐선부지가 사실상 상업개발되는 쪽으로 가닥을 잡자 지역 시민사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지난해 6·4지방선거 때 모든 부산시장 후보가 "동해남부선 폐선부지를 시민 품으로 돌려주겠다"고 약속했고, 각계 시민이 리본을 달고 서명을 하며 폐선부지 지키기에 힘을 쏟았지만 돌아온 건 상업개발이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강행될 경우 서병수 부산시장의 공약이 공수표가 되는 것은 물론 민간사업자의 손을 들어주는 것이어서 파문이 예상된다. 시민단체들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집단행동에 나설 계획이다

26
일 부산시에 따르면 철도시설공단은 다음 달 중순께 동해남부선 폐선부지 미포~옛 송정역 구간의 상업개발을 위한 민간 사업자 공모에 들어가 2개월 후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시는 상업개발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민간사업자를 공모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레일 바이크 같은 상업시설을 설치하는 대신 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난개발을 최소화할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앞서 공단은 시가 주관하는 사회적 합의 기구인 '라운드 테이블'에 참가한 전문가 주민 시민단체 등 37명에게 개발 방향을 묻는 의견서를 수렴해 검토 중이다. 공단은 각계의 개발 의견서를 바탕으로 사업 방향을 결정한 뒤 민간 사업자 공모에 들어가기로 했다
.

지역 시민사회는 반발하고 있다. 시민 의견을 수렴한다며 라운드 테이블을 꾸려 지난 3, 4월 두 차례 회의를 열고는 의도한 방향대로 몰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라운드 테이블에서 '해운대기찻길친구들' 등 시민단체는 "민간 업자에게 개발 이익을 안겨주는 상업개발은 곤란하다"고 줄곧 주장했다


이견이 노출되자 최근 공단은 시에 개발 방향에 대한 의견 수렴을 요청했고 시는 공문을 돌려 의견수렴 절차를 갖기는 했다. 하지만 최대 쟁점인 '상업개발이냐' '시민공원화냐'에 대한 진지한 토론을 하지 않았고 절충안도 나오지 않았다. 결국, 시민단체 등을 들러리로 세워 공단과 시가 일방적으로 상업개발 쪽으로 가닥을 잡아간 셈이다.

해운대기찻길친구들 최수영 집행위원장은 "민간 제안 사업 방식에 관해 지난 두 번의 라운드 테이블에서 반대 의견을 명확하게 밝혔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수익성을 위해 상업성을 보장하게 될 것이고, 이는 난개발로 이어질 것이다. 결국 사회적 합의 기구인 라운드 테이블은 철도시설공단의 '용역 자문 기구'에 불과했다"고 꼬집었다. 시민단체들은 시민 여망을 외면한 서 시장의 공약 파기도 어떤 식으로든 문제를 삼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미포~옛 송정역은 하루 평균 1만 명 이상의 국내외 관광객이 찾을 정도로 지역 대표 관광명소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화장실 벤치 등 방문객을 위한 편의시설은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2015. 5.27. 국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