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의 '구명운동에도 불구하고 잠적한 엘시티 대표
'부산상의' 구명운동에도 잠적해 버린 '엘시티' 대표
부산동부지청, 수백억 비자금 조성 혐의 대표 수배
▲ 이영복 회장 탄원서 서명 감시 및 원본 우편 송부 협조 요청 공문
부산 해운대의 국내 최고층 주거 복합단지 '엘시티'의 건설 시행사 대표 이영복 (66)씨가 검찰의 소환에 불응하고 잠적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 대표의 구명운동에 나섰던 부산상의가 난처한 상황에 빠졌다.
부산상의는 지난달 25일부터 120명의 상의 의원들을 대상으로 서명작업에 나서 90여명으로부터 27일 서명으로 긴급히 팩스로 받은 뒤 같은 달 29일 원본을 우편으로 접수했다.
이같은 사실은 본보가 확보한 부산상의 공문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
발신을 회장으로 한 이 공문은 상의 의원들에게 원본을 지난달 29일까지 총무관리팀에 우편으로 보내줄 것을 요청하는 문구를 적시해 놓고 있다.
이후 부산상의가 이 탄원서를 실제로 검찰에 제출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해당사건을 수사를 하고 있는 부산동부지청은 탄원서 접수 여부에 대해 확인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문제는 부산상의측 입장이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추후 취재에 나선 일부 언론에 "엘시티 시행사 측 변호사에 전달했다"고 밝혀 부산상의 의원들로부터 연명을 받은 진의를 의심케 했다.
부산상의가 지역 경제의 악영향을 우려, 탄원서를 준비한 것이 아니라 엘시티 측 요청을 받고 급히 의원들로부터 서명을 받으려했다는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부산상의의 관계자는 또다른 언론에는 "엘시티 시행사 측에서 부산상의 의원들에게 개인적으로 (탄원서 서명을) 부탁한 것으로 안다"고 전해 사실을 호도하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였다.
부산상의의 탄원서 내용도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탄원서에는 해운대관광리조트 개발사업의 시행자 엘시티를 공공 개발사업으로, 이영복 사장을 지역사회에서 신망높은 입지전적인 인물로 묘사하고 있다.
부산상의는 탄원서에서 "엘시티는 시행사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타 개발사업과 달리 부산과 해운대를 사계절 체류형 관광도시로 만드는 공공적 가치를 수행하는 공공 개발사업"이라고 표현했다.
이어 "그러기에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지역사회와 부산시민들이 엘시티를 응원하고 지원하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최근 검찰수사가 언론을 통해 알려지자 1조2000억원에 달하는 레지던수 분양이 막대한 차질을 빚고 있고 지역경제계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가 충격에 빠졌다"고 역설했다.
이영복 회장에 대한 개인사도 곁들였다.
(이 회장은) "좌절과 고난의 시간을 극복하고 일어선 입지전적인 분으로 지역사회에서 신망이 높고, 지역사회를 위해 많은 기여를 한 분"이라며 개인적 사리사욕을 경계했기에 개인재산이 없기로도 유명하다"고 소개했다.
이와 관련, 참여연대 관계자는 "비리로 얼룩져 있는 업체에 대해 수사하는 것이 지역경제에 파급을 미친다는 근거가 어디에 있는가"라고 반문하고 "(부산상의측 탄원서에 따르면) 부산의 경제가 비리로 지탱되고 있다는 얘기"라고 힐난했다.
한편 부산지검 동부지청 형사3부는 11일 '엘시티'의 건설 시행사인 청안건설이 사업을 진행하면서 회사 자금 수백억원을 빼돌려 비자금을 만든 혐의를 잡고 회사 대표인 이영복(66)씨를 지명수배했다.
검찰은 앞서 10일 청안건설의 자금 담당 임원인 박모(53)씨를 구속했다.
2016. 8.12. 국제신문